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실험실 소개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저차원 나노구조 금속화합물 및 탄소나노구조체를 빌딩블럭으로 이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나노혼성체, 나노다공체, 헤테로구조 다층막, 등의 신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10여년간 2차원 나노시트를 기반으로 강한 계면 화학결합 및 전자구조 커플링을 갖는 나노혼성체를 합성함으로써 최적화된 기능성을 갖는 물분해 및 인공광합성용 광촉매 소재, 다양한 금속이온, 금속-황, 금속-공기 등 이차전지 및 슈퍼캐패시터용 전극 소재, 전기화학촉매 소재, 태양전지용 전극 소재, 온실가스 흡착제, 나노바이오 담체 및 바이오 센서 소재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신물질 설계의 기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X선 흡수분광법, X선 회절-PDF 분석법, 리트벨트 구조분석법, 전자현미경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나노구조 소재의 화학결합특성과 기능성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Advanced Nano-energy Materials Laboratory 21
    We have carried out systematic studies to synthesize new advanced nanomaterials including nanohybrids, nanoporous structures, and heterostructured multilayers by employing nanostructured inorganic and carbonaceous compounds as building blocks. In particular, we have synthesized 2D nanosheet-based hybrid materials with strong interfacial chemical interaction and electronic coupling to explore high performance functional materials as photocatalysts for water splitting and artificial photosynthesis, electrode materials for secondary batteries, supercapacitors, and solar cell, electrocatalysts, greenhouse gas adsorbents, biomolecules delivery vectors, and biosensors. To provide an insightful theoretical basis for designing new efficient functional materials, we have tried to elucidate a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bonding character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d materials using up-to-date characterization techniques (XANES/EXAFS, XRD-PDF, Rietveld refinement, etc)